< 회중 찬송할 때 전주를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 >
오늘은 성가의 전주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전주는 성가의 어느 부분을 쳐야 하는가?
- 앞부분
- 앞부분과 뒷부분
- 앞부분과 약간의 뒷부분
- 뒷부분
전주는 무엇보다도 성가의 멜로디를 명확하게 제시해 주어야 합니다.
그러면 교우들은 첫 음을 잘 잡고 힘차게 성가를 부릅니다.
1) 잘 알려진 성가
‘잘 알려진 성가’는
어느 곳을 전주로 하여도 교우들은 잘 알고 시작합니다.
반면 성당을 나온지 얼마되지 않은 새 신자에게는 ‘잘 알려진 성가’라도
낯설은 노래 즉 ‘잘 모르는 성가‘일 것입니다.
따라서 이 사실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.
2) 잘 모르는 성가
‘잘 모르는 성가‘는 반드시 앞부분을 전주 해주어야 합니다.
왜냐하면 반주자는 ‘잘 모르는 성가‘라도 여러 번 연습으로 다소 익숙할 수 있으나
교우들은 ‘초견‘으로 노래를 부르게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.
따라서 앞부분을 전주 해주어야 교우들은 멜로디를 잠시나마 접하고
이어지는 반주소리에 의지해 노래 부를 용기를 내게 될 것입니다.
2. 전주는 몇 마디가 적당한가?
‘작은 악절 phrase (지식백과)
악식 구조에서 보통 4마디로 이루어지는 짧은 악절.
...작은 악절을 이루는 가락은 그 표현이 불완전하지만
음악으로서의 최소한의 감정과 의미를 나타내며
대개 가사의 1행에 해당된다.‘
전주는 위와 같은 이유로 4마디가 적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.
‘4마디’ 정도면 교우들이 성가책을 펼칠 수 있는 시간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.
그러나 ‘4마디’는 곡의 길이(마디 수), 멜로디의 내용,
박자표에 따라서 5마디, 6마디, 8마디 등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전례안에서 다소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입당성가나 긴 성가등은 성가에 따라서
8마디가 좋을 수 있습니다.
8마디는 큰악절로 멜로디 전개하는 것이 음악적으로 풍부하기 때문입니다.
* 5마디가 필요한 성가 : 71번, 287 등.
* 6마디가 필요한 성가: 18번 등.
* 8마디가 필요한 성가 ( 2/4 박자, 2/2 박자 등.) : 35번, 141번 등.
3. 전주 시 끝부분에 ritardando가 필요한가?
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습니다. 그러나 분명한 목적이 있을 때는 할 수 있습니다.
전주는 멜로디와 함께 곡의 템포(속도)를 제시하는 것임으로
일정한 속도로 전주를 하여 그 속도를 타고
노래 부를 수 있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합니다.
4. 주의할 점
1) 앞부분 4마디를 할 경우:
마지막 화음이 ‘I도 화음’으로 마치는지 체크해야 합니다.
‘I도 화음‘은 전주가 끝났음을 알려주기 때문입니다.
‘V도 화음’으로 마치는 것이면 마지막 화음만 약간 늘려줘야 합니다.
전주가 끝났음을 알리기 위함입니다. ( ritardando가 아닙니다.)
2) 앞부분 2마디 + 뒷부분 2마디 또는 앞부분 + 약간의 뒷부분을 할 경우:
앞마디와 뒷마디의 연결이 매끄럽게 잘 연결되는지 확인해 봅니다.
3) 뒷부분 4마디를 할 경우:
잘 모르는 성가의 경우 뒷부분이 성가의 앞부분 주선율과 같으면 다행이지만
다르다면 무슨 노래인지 모를 뿐만 아니라, 첫 음조차 잡을수 없게 됩니다.
또한 뒷부분의 시작음이 너무 높을 때는 앞부분 선택이 좋습니다.
전주의 시작이 고음이면(비록 몇 개의 음이지만) 소리 자체가 스트레스가
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4) 못 갖춘마디 성가:
뒷부분을 전주할 때 시작 부분이 못 갖춘마디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.
성가반주를 할 때 전주를 정하는 것은 위와 같이 생각해봐야 할 것이 많이 있습니다.
반주자는 각자의 취향이나 음악적인 멋스러움보다
교우들을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.
또한 꾸준한 연습과 함께 I도 화음, V도 화음 등 약간의 전문적인 지식을 쌓아야 합니다.
이에 따른 공부를 해 놓으면 자연스러운 전주로 매끄러운 반주를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.
'성가대장의역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합창을 위한 좋은글 또있어요 ㅋㅋ (0) | 2017.07.23 |
---|---|
[스크랩] 성가대 (0) | 2017.07.23 |
[스크랩] Re:어떻게 생각하십니까? (0) | 2017.05.08 |
[스크랩] [성가대운영] 성가대에서 지휘자와 반주자의 역할과 관계 (0) | 2017.03.13 |
[스크랩] 한국 가톨릭교회와 성가대의 위치 이대로 좋은가? (0) | 2016.11.27 |